Programming15 [docker] docker run oracle 아래의 내용들은 몇일에 걸쳐 이루어낸 Ubuntu20.04 LTS에 도커를 활용하여 오라클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 도커의 기본적인 부분들도 조금 정리해보았습니다. 훨씬 더 잘 정리된 글들도 많지만 그래도 적어보았습니다. 파일들을 모아놓은 어떤 프로그램의 객체를 컨테이너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환경이라고도 표현을 하곤 하지만, 더 쉽게 설정값들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서로 쉽게 읽어와서 쓸 수 있는 (즉, 설치의 개념과 조금 다른) 그런 객체를 컨테이너라고 생.. 2023. 4. 25. AWS EC2 서비스에 대하여 책일 읽어보아도 그리고 인터넷을 살펴보아도 아마존의 EC2 서비스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그리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는 곳을 찾을 수가 없어 이렇게 직접 글을 쓰고 찾아보게 되었다. 모두가 알다 싶이 EC2 서비스가 대략적으로 컴퓨터 기기를 대여해서, 내가 인터넷으로 손쉽게 인스턴스 라는 형태로 빌려 사용하는 것임은 알 수 있다. 그리고 신규 회원 가입을 하면 무료로 12개월 사용할 수 있고 이와 함께 AWS에서 제공하는 기타 서비스들을 일정 수준까지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까지는 쉽게 찾아보고 직접 가입과 등록 하는 절차들까지 친절하게 스크린샷을 해주는 블로그들이 많다. 하지만 정확히 AWS에서 소개하는 정보들과 자료를 참조하는게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그래서 홈페이지의 소개자료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2023. 2. 26. 초보도 이해하기 쉬운 REST API란, RESTful이란, API란 REST API라는 용어가 자동매매, AWS, 증권사 API 같은 키워드를 검색하니 자주 등장하는 것을 알게되었다. 일전에 가볍게 조사해서 공부해본 적은 있는데 기억에 잘 남지 않아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다. REST 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약자로 HTTP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용어를 직역하면 보여지는 상태(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자원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RESTful은 무엇이냐? 같으면서 조금은 다른 의미입니다. RESTful은 REST 라는 아키텍쳐 스타일을 구현하는 web service를 의미합니다. 즉, REST의 약속을 따르는 시스템 방식을 RESTful하다~~ 이렇게 이해하면 됩니다. 먼저 API라는 개념부.. 2023. 2. 25. [0] AWS 네트워크 입문 회사에서 나만의 서버로 접속하여 자동매매 프로그램을 돌리고자 계획하고 있다. 관련한 지식을 쌓기 위해 책을 한 권 구매하여 읽어보고 있고 책은 김원일, 서종허 저자가 지은 "따라하며 배우는 AWS 네트워크 입문" 이라는 책입니다. 책은 비전공자도 네트워크와 관련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데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1장에서 5장 AWS의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고, 이후 6장은 AWS와 연결되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7장은 보안을 그리고 8장은 종합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WS라는 것에 대하여 모두들 클라우드 정도로만, 원격으로 컴퓨터/서버를 제공해준다. 이 정도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원하는 만큼의 IT 리소스를 쉽게 .. 2023. 2. 21. 결국 다시 VBA...[0]편 업계 친구들로부터 파이썬이니 C++이니 해도 결국에 VBA 해야할껄? 이라는 이야기를 매번 들어 왔다. 얼마나 많은 내부 규정과 충돌 이슈 등 무조건 그냥 순응하고 VBA 하는게 속편할꺼다, 나도 별짓 다해봤다. 이런 이야기를 듣고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지 않을까 싶었고 아집을 부렸다. 하지만 아니나 다를까 VBA를 해야할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심지어 R을 배워야할수도 있을거 같다... 어쨋든 책을 결국 구매했다. 4만원이라는 금액을 투자했고.. 국룰로 불리는 책으로 픽했다. 지금부터 한편씩 한편씩 정리해나가고자 한다. 혹시라도 참고하실 분들이 계실까봐 세팅 단계에서의 사항을 언급한다. 예제로 사용되는 파일은 hanbit.co.kr 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접속하신후 로그인을 하면 우측 .. 2022. 8. 22. 스레드(Thread)란, CPU란, 코어(Core)란? 2코어 4쓰레드? 4 CORE 8 THREAD 이런말 혹시 들어보셨나요? CPU를 알아봐야 할때 반드시 알게되는 개념인데요, core를 사람으로 비교하면 우리의 입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면 thread는? 우리의 양 손이 되겠습니다. 일단 위의 비유에서 전달하고 싶은 메세지는 1:2의 비율입니다. 그러면 CPU는 무엇이냐? 위 예시를 이어가는 비유를 들자면, 음식을 먹는 행위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실제로 CPU안에 위치한 코어는 기계어 연산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입니다. 과거에는 CPU안에 하나의 코어만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오늘날 쿼드코어와 같은 멀티 코어 CPU가 등장한거죠. 즉, 입이 4개 손이 8개인겁니다 고로 더 빨리 음식을 먹을 수 있죠. 그러면 도대체 어.. 2022. 8. 11.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7) : SCOTT 계정 활용, NOT, IN, BETWEEN, LIKE, WILDCARD, ESCAPE, ISNULL, 안녕하세요, (6)번까지 따라오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본격적으로 재미가 붙어가는데요, 오늘도 SCOTT 계정의 테이블들에 새로운 명령어들을 적용해보겠습니다. 먼저 IN 연산자입니다 IN 연산자는 말 그대로 어디 안에 있는 이라는 말입니다. WHERE 조건식에서 여러가지 조건들을 OR을 사용해서 적용하는 방법을 배웠는데요, 여러가지 조건식을 하나의 식으로 간략화가 가능해 집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SELECT * FROM EMP WHERE JOB = 'MANAGER' OR JOB = 'SALESMAN' OR JOB = 'CLERK' 위와 같이 EMP 테이블 안에서 필드 JOB이 3개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경우를 조회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IN을 사용하면 간단해지는데요, SELECT * FROM EMP.. 2022. 8. 5.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6) : SCOTT 계정 활용, DISTINCT, ALL, 별칭 AS, ORDER BY, WHERE, AND, OR, 논리연산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본격적으로 SCOTT 계정의 데이터를 활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DISTINCT 명령문 부터 배우겠습니다. 단어 뜻 그대로 DISTINCT 별개의 라는 의미로 SELECT와 함께 썼을때 중복된 값들은 제거하여 선택합니다. 위와 같이 DEPTNO 라는 field를 EMP 라는 테이블에서 조회하면, 30과 20 그리고 10의 값들이 포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고유값들만 있는지를 알고 싶을 수 있는데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여 보면 3개의 고유값들만 조회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field를 추가해 볼까요? 아래의 경우는 DEPTNO 그리고 JOB 두개의 field에 DISTINCT를 적용한 경우입니다. 그러면 기존 10,20,30의 값들이 다시 .. 2022. 8. 2.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5) : SQL Developer 사용 먼저 SQL Developer 설치를 완료하셨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앞서서 잠금 해제 하였던 scott 계정을 사용할 겁니다. SQL Developer는 개발 환경마냥 편하게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하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먼저 해당 프로그램과 scott 계정을 연결해야하는데요, 녹색 더하기 버튼을 눌러 서버 연결을 추가하는 겁니다. localhost, 그리고 보통 처음 설치하면 port는 1521이고 (두번째 이시면 1522입니다) 로 설정하고 저희의 경우 sid 는 orcl로 처음에 오라클을 설치할때 설정했던 이름입니다. 아래 하단에 테스트를 눌러보면, 연결이 가능한지 불가한지 나옵니다. 우측에 success가 나왔다면, connect를 통해 연결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연결을 완료하시면 .. 2022. 7. 28.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4) : DBA 접속, 계정 생성 (3)편의 내용을 잘 따라오셨는지요?? 오늘의 내용은 반드시 (3)편을 수행하셨어야 합니다. 못보셨다면 설치 후에 오세요!! https://carryon430.tistory.com/19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3) : 오라클 설치, 오라클 11g(11.2) 버전 설치, 오라클 과거 버전 다운로 (2)편에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 https://carryon430.tistory.com/18 https://carryon430.tistory.com/17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1) : DB이란? DBMS이란? SQL이란? DB 개념잡기 먼.. carryon430.tistory.com 일단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볼까요?? CMD창으로 접속해보시겠습니다. 모르시겠다면, 시작.. 2022. 7. 25.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3) : 오라클 설치, 오라클 11g(11.2) 버전 설치, 오라클 과거 버전 다운로드 (2)편에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 https://carryon430.tistory.com/18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2) : 관계형 DB란? 기본키, 외래키, 복합키, 대체키, 후보키, Key란? 1편 DB의 기초, 못읽어 보신분들은 읽고 오세요!! -----> https://carryon430.tistory.com/17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1) : DB이란? DBMS이란? SQL이란? DB 개념잡기 먼저 데이터와 정보의 구별 : 데이터를 가.. carryon430.tistory.com (1)편 (2)편은 정말 기초 중에 쌩 기초 개념입니다. 대학교 학부로 치면 1학년 수업 첫 날 진도 중 15분입니다. 그러면 오라클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MySQL과 오라클 어떤.. 2022. 7. 24.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2) : 관계형 DB란? 기본키, 외래키, 복합키, 대체키, 후보키, Key란? 1편 DB의 기초, 못읽어 보신분들은 읽고 오세요!! -----> https://carryon430.tistory.com/17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입문 (1) : DB이란? DBMS이란? SQL이란? DB 개념잡기 먼저 데이터와 정보의 구별 : 데이터를 가공해 정보가 생기는 것. 즉 데이터는 어떤 필요를 위해 수집해 놓은 것으로 아직 특정 사용 목적을 위해 정제되지 않은 상태이다. 가공하는 carryon430.tistory.com 그러면 오늘은 1편에 언급한 RDBMS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아주 중요합니다. 왜냐?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론이고 직관적이고 사람이 생각 및 이해하는 방법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1편에서 언급한 개체입니다. 용어 .. 2022. 7. 24. 이전 1 2 다음